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정보

국회의원 선거, 국회의원

by sinbine 2024. 4. 10.
반응형

국회의원 선거일, 국회의원이란?

안녕하세요 오늘 2024년 4월 10일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입니다. 아침 일찍 아이들과 함께 선거하고 옵니다. 투표소 확인을 잘못해서 아침부터 걷기 운동 열심히 하고 왔답니다. 그래도 선거는 완수합니다. 첫 선거를 하는 딸과 가족과 함께 소중한 한 표 제출하고 옵니다. 
 

국회의원

국회의원은 대한민국 국민의 대표로서 대한민국 국회를 이루는 구성원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41조에 따라 국민의 보통, 평등, 직접, 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됩니다. 국회의원의 수는 법률로 정하되 200인 이상으로 하며 임기는 4년입니다.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을 제정하고 국정을 심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직무를 독립적 자유롭고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국민과는 다른 특권과 권리 의무를 부여받습니다. 
 

  • 불체포 특권 : 현행범인이 아닌 한 회기 중 국회의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않습니다. 회기 전에 체포 또는 구금될 때는 현행범인이 아닌 한 국회의 요구가 있으면 회기 중 석방될 수 있습니다. 
  • 면책 특권 :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관하여 국회 외에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발의권 :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표결권 : 본회의 또는 위원회 등에 출석하여 안건에 해해서 찬성, 반대의 의견을 표명할 수 있습니다. 
  • 발언권 : 본회의 또는 위원회 등에서 발언할 수 있습니다. 
  • 국회의원 수당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당과 입법활동비, 특별활동비 등을 지급받습니다. 

국회의원이 받는 특권과 권리를 통해 국민의 대표로서 국가의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입법 및 재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을 뽑는 이유

  • 대의 민주주의 실현 : 국민이 직접 국가 정책결정에 참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국민대표를 선출해서 국가 의사 결정에 참여하도록 합니다.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해야 합니다. 
  • 입법 활동 : 법률 제정하고 개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국가의 발전과 안정에 기여합니다. 이를 위해 전문성을 갖추고, 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법률을 만들어야 합니다.
  • 국정 감시 및 견제 : 정부의 예산 집행과 정책 추진을 감시 견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의 독선과 부패를 방지하고 정책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국민의 이익을 증진시킵니다.
  • 지역발전 기여 :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 사회적 약자 보호 :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이들의 권리와 이익을 증진해야 합니다. 
  • 국가 안보 강화 : 국가 안보 강화 국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국가 안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국회의원 선거방법

  • 만 18세 이상의 국민은 선거권을 가집니다. 
  • 후보자는 정당의 추천이나 무소속으로 출마가 가능합니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자로 나뉩니다.
  • 국회의원 300명 선출합니다. 지역구 254명 비례대표 의원 46명입니다. 
  • 임기는 4년입니다. (2024년 5월 30일부터 2028년 5월 29일까지) 
  •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각각 한 표씩 행사합니다. (사전투표와 본투표를 진행하며 사전투표는 선거일 전 5일 전에 2일간 실시합니다. )
  • 개표 후 최다 득표한 후보자가 당선됩니다. 비례대표는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배분됩니다.

 

 

중안선거관리위원회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특집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세요.

www.nec.go.kr

 

반응형